본문 바로가기

영화이야기

영화를 통한 심리치료 - 치료적 기제 (1) 창의성의 힘과 은유와 상징의 힘

영화는 치료를 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치료적 기제로서 5가지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창의성 (2) 상징과 은유 (3) 신화와 스토리텔링 (4) 놀이적인 속성 (5) 안전한 거리. 각 다섯 가지 특성의 힘을 통해 심리적 치료가 가능합니다. 

 

1. 창의성의 힘

 

 창의성이란 새로운 물건이나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힘만을 이야기 하지 않습니다. 마주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의견을 도출해 내는 힘 또는 그러한 선천 후천적인 특성을 말하기도 합니다(박영태, 2004).

 

 창의성이 언제 어떻게 길러지느냐는 완벽한 인과관계가 정립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문자 기반 사고와 이미지 기반 사고를 비교했을 때, 이미지 기반 사고에서 창조성이 움튼다는 생각은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아동 청소년기에 영상에 대한 노출이 적었던 세대의 경우에는 광고나 영화 같은 영상매체를 보더라도 문자로 번역하여 논리적, 분석적으로 사고하려고 노력합니다. (정제형, 2004) 그러나 아동 청소년기에 영상 노출이 빈번했던 세대의 경우는 문자로 인식하기보다는 이미지를 감정적으로 느끼면서 비논리적으로 유추 능력이 더 뛰어납니다. 이를 시각적 사고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TV 많이 보면 바보된다, 라는 말이 무색하게도 사실은 영상 이미지는 구체적인 경험을 풍부하게 해 줍니다. 또한 학습동기를 의욕적으로 유발해 학습 능률을 높여줄 수도 있습니다. 직접 마주한 세상을 오감으로 느끼며 사고를 기르는 것 만이 다가 아니라, 영상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받아들여 경험을 풍부하게 할 수 있으며, 구체적 심상을 통한 학습으로 시고 확장과 추상적인 내용의 이해를 도울 수 있습니다. (문정화, 하종덕, 2006)

 

 생각이란 무엇일까요? 머릿속으로 무엇인가를 그려나가는 것입니다. 실존하지 않거나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머릿속에 그려나가는 생각의 힘을 "상상력"이라고 합니다. 이 상상력은 창의성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상상력이 뛰어나면 창의성이 뛰어난 것이지요. 영상매체는 이 상상력을 키워주는데 탁월한 효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애니메이션이 그렇습니다. 아직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사실이나 경험 아이들에게 시켜줄 수 있고, 동물이나 무생물을 의인화하여 감정을 묘사시켜 정서를 발달시킬 수 있습니다.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는 마법, 모험, 요술과 같은 주제들로 현실에 대한 고찰에서 얻을 수 없는 "상상력"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정리하여 다시 말하겠습니다. 상상력은 창의성을 높일 수 있고, 창의성은 인생에서 수도 없이 마주치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 능력을 키워주고 문제들을 마주했을 때 마주하는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습니다. 영화를 비롯한 영상매체는 상상력을 높이는데 큰 효율을 보입니다.

 

2. 상징과 은유의 힘

 

상징

 

 상징은 추상적 개념이나 사물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낸 것을 말합니다. 기본적으로 상징으로 사용된 물체와 실제 그 상징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에는 임의의 약속 이외에 논리적인 연결고리는 없습니다. 신호등의 빨간불은 정지를 의미하고, 초록불은 이동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빨간색과 '정지'라는 의미 속에는 어떠한 연결고리도 없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의 약속에 기반한 것입니다. 상징은 약속에 기반합니다. 우리는 상징에 대해서 알게 되면 상대방의 의도를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영화 속에 특정 상징이 등장할 때, 그 상징이 무엇을 가리키는지 알게 된다면 감독의 전달 의도를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영화에서 사용되는 상징은 무한정합니다. 그러므로 영화에서 사용되는 상징적인 의미 전달의 특수성을 숙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Heston, Kottman, 1997)

 

 (1) 상징적 패턴

 

 하나의 상징은 다른 상징과의 연결성이 거의 없습니다. 신호등의 빨간 불과 가운댓 손가락을 내밀어 상대방에게 모욕을 주는 것은 관련이 없습니다. 그러나 한 영화 속에서 각각 상징들이 연결성을 보이며 상호작용을 한다면, 이를 "상징적 패턴"이라고 부릅니다. 감독은 영화 안에서 여러 가지 상징들의 상호작용을 사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하나의 "관념"을 강력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Boggs, 1989).

 

 (2) 복잡하고 모호한 상징

 

 상징은 의사소통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빨간불은 정지를 의미하하고 초록불은 이동을 의미한다는 것은 너무나 명백하며 모든 사람들에게 통용됩니다. 그런데 신호등에 갑자기 보라색 불이 들어온다면 어떨까요? 신호등의 색이기 때문에 무언가를 상징하는 것 같기는 하지만, 사람들은 이것이 무엇인지 알 수 없습니다. "소나기에서 보라색은 죽음을 의미한다던데... 혹시 지금 이동하면 죽는다는 건가..?" 하며 헷갈릴 수 도 있습니다. 농담처럼 이야기하였지만, 영화 속에서 감독은 종종 의도적으로 모호한 상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한 상징이 명확하게 하나의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상이하면서도 유효한, 다중의 해석이 가능한 상징들입니다. 그러나 이는 감독이 관객을 고의적으로 혼란시기켜고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고의적으로 복잡한 상징을 사용함으로써 그 상징이 주는 "복합성"이나 "모호함" 자체를 전달하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은유

 

 "내 마음은 호수다." 이는 은유입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것을 통해서 어떠한 한 대상을 이해하고 분별하는 인식의 과정이 은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 마음"이라는 것을 관찰하고 인식할 때 "호수"라는 새로운 관념을 통해서 볼 수 있다는 말입니다.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는 뜻이죠. 우리는 일반적으로 어떠한 것에 대해 한 가지 사고 방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사고 방향의 경직성을 부드럽게 만들고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을 부드럽게 제공하는 데에 은유는 큰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너는 이렇게 생각하고 있구나, 그렇게 하는건 잘못되었으니 저렇게 생각하도록 해라"와 같은 직접적인 교정은, 설마 그 내용이 논리적이고 타당하다고 하여도 강한 심리적 저항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 방청소하라는 엄마의 말에 괜히 반발심이 생기는 이치죠. 그러나 은유를 사용하면 내담자의 복잡한 감정이나 변화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상담자와 내담자 간 관계를 형성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은유를 사용한 대화는 듣는이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게 돕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감정에 대한 논리적인 설명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이를 들여다보고자 하는 정신적 에너지 또한 부족합니다. 은유는 자신의 감정과 심리상태를 차분히 들여다보고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는 힘을 줍니다.